반응형
UB40의 "(I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는 1993년에 발매되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은 레게 버전의 히트곡이지만, 이 곡은 UB40의 오리지널 곡이 아닙니다. 이 곡은 전설적인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의 1961년 곡을 리메이크한 것입니다.
1. 원곡: 엘비스 프레슬리 - "Can't Help Falling In Love" (1961년)
- 영화 '블루 하와이' 삽입곡: 엘비스 프레슬리의 "Can't Help Falling In Love"는 1961년 영화 **'블루 하와이(Blue Hawaii)'**의 사운드트랙을 위해 만들어진 곡입니다. 영화에서 엘비스가 직접 불렀으며, 이 곡은 영화와 함께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 작곡가: 휴고 페레티(Hugo Peretti), 루이지 크레아토레(Luigi Creatore), 조지 데이비드 와이스(George David Weiss)가 공동으로 작곡했습니다.
- 멜로디의 기원: 이 곡의 멜로디는 1784년에 작곡된 장 폴 마르티니(Jean Paul Martini)의 유명한 프랑스 가곡 **"Plaisir D'amour" (사랑의 기쁨)**에서 따왔습니다. 엘비스의 버전은 이 고전적인 멜로디에 현대적인 팝 발라드 감성을 입혀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 원곡의 가사 의도: 원래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Him"이라는 제목으로 여성의 관점에서 쓰였으나, 엘비스를 위해 남성의 관점으로 수정되었습니다.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듯이 어쩔 수 없이 사랑에 빠지는 운명적인 감정을 노래합니다.
- 상업적 성공: 엘비스의 버전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영국 차트에서는 1위에 오르는 등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고전적인 발라드가 되었습니다.
2. UB40 버전의 탄생: 영화 '슬리버'와 레게 리메이크 (1993년)
- UB40의 음악적 스타일: UB40는 1978년 영국 버밍엄에서 결성된 레게 밴드입니다. 그들은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와 레게 음악을 결합하여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했으며, "Red Red Wine"과 같은 커버곡을 레게 스타일로 편곡하여 큰 히트를 시킨 전례가 있었습니다.
- 영화 '슬리버' 사운드트랙 의뢰: 1993년, 샤론 스톤 주연의 스릴러 영화 **'슬리버(Sliver)'**의 사운드트랙에 삽입될 곡을 찾던 중, UB40에게 엘비스 프레슬리의 "Can't Help Falling In Love"를 리메이크해달라는 제안이 들어왔습니다.
- 레게 스타일로의 재해석: UB40는 원곡의 감미로운 발라드 멜로디를 자신들의 시그니처인 레게와 팝 사운드가 결합된 스타일로 완전히 재해석했습니다. 이들은 곡에 통통 튀는 레게 리듬과 신시사이저 사운드를 더해 원곡과는 또 다른 매력을 부여했습니다. 이 편곡은 곡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경쾌하고 독특한 감각을 더했습니다.
- 폭발적인 상업적 성공: UB40의 "(I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는 1993년에 발매되자마자 전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7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UB40에게 두 번째 미국 1위 곡을 안겨주었습니다.
- 영국 차트에서도 1위에 올랐으며, 호주, 캐나다, 독일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차트 정상을 차지했습니다.
- 대중적인 영향: 이 곡은 영화 '슬리버'의 성공에도 기여했으며, UB40의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또한, 이 곡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레게 음악과 UB40라는 밴드가 다시 한번 크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UB40의 "(I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You"는 원곡의 시대를 초월한 멜로디와 가사에 UB40의 독특한 레게 스타일이 더해져 새로운 생명을 얻고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리메이크곡의 대표적인 예시로 남게 되었습니다.
UB40는 "Unemployment Benefit, Form 40"의 약자입니다.
영국에서는 실업 수당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정부 고용부(Department of Employment)에서 발급하는 출석 카드이자 양식이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UB40 양식이었습니다.
밴드 멤버들 대부분이 결성 당시 실업자였고, 이 양식을 작성하며 실업 수당을 받았기 때문에, 친구의 제안으로 자신들의 밴드 이름을 "UB40"로 정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이름은 그들의 작업 계층 출신과 당시 영국의 높은 실업률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상징하며, 밴드의 음악적 뿌리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제로 그들의 첫 번째 앨범인 'Signing Off'의 앨범 커버는 UB40 양식의 이미지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반응형
'S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ss Me by Sixpence None The Richer (1) | 2025.06.29 |
---|---|
Spit Out the Bone by Metallica (3) | 2025.06.28 |
A Shoulder To Cry On by Tommy Page (0) | 2025.06.28 |
The Sound of Silence by Simon and Garfunkel (2) | 2025.06.26 |
Creep by Stone Temple Pilots (0) | 2025.06.26 |